고려시대의 대표적인 불상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불상 에는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이 있고요 원나라 간섭기에는 바위를 활용한 대형불상인 파주 용미리 입상과 안동 이천동 불상등이 만들어졌습니다. 고려시대에 지어진 목조건물에는 안동 봉정사 극락전과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이 있습니다. 원나라 간섭기의 대형 불상 파주 용미리 입상 안동 이천동 불상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불상인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고려 광종때 만들기 시작하여 고려 목종 때 완성이 되었습니다.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보통 은진미륵으로 불립니다 파주 용미리 입상과 안동 이천동 불상은 자연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였습니다 조선시대의 기록물인 관촉사사적기에 관촉사석조미륵보살입상의 조성 과정이 자세하게 기록이 되어 있습니다.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고려 광종때 만들기 시작 고려 목종 때 완성 대형불상인 파주 용미리 입상과 안동 이천동 불상은 원나라 간섭기에 만들어졌습니다

회귀선 부근에 많이 형성되는 사막

이미지
  사막은 위도   30 ˚   부근 지역이나 대륙의 안쪽에 주로 위치하고 있습니다 .   사막은 연평균 강수량이   300 ㎜ 이하인 지역을 말하는데요 아프리카의 경우 남회귀선과 북회귀선 부근에 사막이 많이 형성이 되고 있습니다 . 사하라 사막은 알제리와 말리 니제르를 중심으로 펼쳐져 있습니다 사막은 크게 열대 사막과 온대 사막으로 구분이 되는데요 일반 육지에 비해서 기온의 연교차와 일교차가 매우 큰 것이 특징입니다. 사막의 구분 열대사막[사하라 사막] 온대사막[몽골 고원 내의 고비 사막]     ☛남반구 지역의 사막 남반구 지역에 있는 사막으로는 아프리카의 나미브 사막과 칼라하리 사막이 있고요 오스트레일리아의 내륙지역에 있는 그래이트 샌디 사막과 그레이트 빅토리아 사막을 들 수가 있습니다 남부 아프리카 지역에 있는 나미브 사막과 칼라하리 사막은 남회귀선 부근에 형성이 되어 있는 사막 인데요 적도부근에서 상승했던 공기가 남회귀선 부근에서 하강을 하면서 이 지역이 매우 건조한 지역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건조기후를 배경으로 하여 넒은 사막들이 형성이 되었습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내륙지역에 있는 그래이트 샌디 사막은 거대한 모래라는 의미이고요 그레이트 빅토리아 사막은 영국 빅토리아 여왕의 이름을 딴 사막이 되겠습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넓은 영토를 가지고 있는 국가이지만 내륙지역은 모두 농사가 불가능을 사막지형으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오스트레일리아 내륙지역에 있는 사막 ---그래이트 샌디 사막, 그레이트 빅토리아 사막 오스트레일리아 내륙지역에는 그래이트 샌디 사막과  그레이트 빅토리아 사막이 있습니다 남부 아프리카 지역에 있는 사막 ---나미브 사막과 칼라하리 사막 남회귀선 부근에서 형성된 사막 ☛아시아 지역의 사막 아시아 지역에 있는 사막으로는 아라비아 반도의 남부지역에 있는 룹앨할리 사막을 비롯하여 인도 서북부에 위치한 타르사막, 중앙아시아에 위...

아시아 지역의 영토분쟁

이미지
  아시아 지역의 영토분쟁에는 난사군도 분쟁을 비롯하여 쿠릴열도 분쟁 센카쿠 분쟁등이 있습니다 아시아 지역의 영토분쟁 난사군도 분쟁  쿠릴열도 분쟁 센카쿠 분쟁 중국과 인도의 영토분쟁   ●난사군도 분쟁 난사군도는 영어로는  Spratly Islands 이고요 한자로는 南沙群島입니다 . 남중국해의 남부 해상에 있는   난사군도는 중국에서 부르는 명칭인데요 남쪽에 있는 모래 섬들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난사군도 영어 --- Spratly Islands 한자 ---  南沙群島 남쪽에 있는 모래 섬들이라는 의미   난사군도 분쟁은 남중국해 남단에 위치한 난사군도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분쟁인데요 중국ㆍ대만ㆍ베트남ㆍ말레이시아ㆍ필리핀ㆍ브루나이 등 주변  6 개국이 이곳의 일부에 대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는 분쟁을 말합니다 .   난사군도 분쟁 국가 중국ㆍ대만 베트남ㆍ말레이시아 필리핀ㆍ브루나이   중국ㆍ대만ㆍ베트남ㆍ말레이시아ㆍ필리핀ㆍ브루나이 등은 현재  50 여 개의 섬을 각각 점유하고 있습니다 . 난사군도에 대한 영유권분쟁은 이곳의 자원 때문에 생겨난 것입니다 . 1970 년대 이전에는 이곳으 영유권 분쟁이 없는데요  1960 년대 후반 이 지역에 풍부한 석유ㆍ천연가스가 매장되어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영유권 분쟁이 시작이 되게 됩니다 .  중국은 난사군도 지역에서 청나라 도자기를 발견하였다고 주장하면서 이 지역이 본래 중국령임을 선언하였습니다 . 이러한 가운데 베트남과 무력 충돌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 1975 년에는 베트남과 필리핀이 난사군도에 군대를 파견하였고   1980 년대 후반에도 중국과 베트남 등이 영유권을 주장하여 군대를 파견하였습니다 . 난사군도 분쟁 국가는 ㆍ대만ㆍ베트남ㆍ말레이시아ㆍ필리핀ㆍ브루나이 입니다 ● 센카쿠 분쟁 일본 오키나와 서남쪽 약  400km,  중국 대륙 동쪽 약  350km, ...

생명공학과 나노산업

이미지
  생명공학은   생명 현상의 유전형질인  DNA 과 세포의 구성성분 , 구성물질을 인위적으로 조절 · 변형함으로써  생물의 양과 질을 향상시키거나 새로운 유용한 생물종을 개발하는 학문을 말합니다 생물학 · 화학 · 미생물학 · 유전학 ·  면역 학 · 발생학 · 생화학 · 분자 생물학과 같은 기초 과학에 현대의 여러 가지 공학 기술을 접목한 것을 생명 공학 연구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현대의 첨단 공학이라고 할 수가 있는 생명공학연구는 유용한 점도 많지만 여러 가지의 부작용을 야기 시키기도 하는데요  생명공학연구는 인간의 존엄성 상실이라는 새로운 문제를 낳고 있습니다. 생명공학은 20세기 이후 큰 발전을 하였는데요 생명 공학의 발전으로 인하여 인간은 생물을 마음대로 조작하고,  그동안 신의 영역이라고 여겨졌던 생명의 탄생 부분까지도 관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된 갯벌

이미지
 2 021년 7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된 갯벌로는 서천갯벌(충남 서천) 고창갯벌(전북 고창) 신안갯벌(전남 신안) 보성-순천갯벌(전남 보성·순천) 등이 있습니다. 2021년 7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된 갯벌은 5개 지자체에 걸쳐 있습니다. 5개 지자체에 걸쳐 있는 4개 갯벌은 2007년 등재된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에 이어 14년 만에 두 번째로 등재된 세계자연유산입니다 --------------------------------------------------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된 갯벌 서천갯벌(충남 서천) 고창갯벌(전북 고창) 신안갯벌(전남 신안) 보성-순천갯벌(전남 보성·순천) ---------------------------------------------------- ● 곰소만에 위치하고 있는 고창갯벌 고창갯벌은 고창군과 부안군 사이에 있는 곰소만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곰소만에 위치하고 있는 고창갯벌은 반폐쇄적인 내만형 갯벌인데요 인근에 있던 새만금 갯벌이 사라짐에 따라 이 지역의 가장 중요한 갯벌이 되었습니다. 고창갯벌 고창군과 부안군 사이에 있는 곰소만에 위치 반폐쇄적인 내만형 갯벌 고창갯벌은 중부 조간대와 하부 조간대의 발달이 매우 좋은 가운데 상부 조간대의 발달이 미약한 편입니다. 곰소만에 위치하고 있는 고창갯벌에는 조개류 , 갯지렁이 등 많은 저서동물들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 이외에 풀게·동죽 등도 많이 있기 때문에 많은 수산 자원의 제공처가 되고 있습니다. ●금강 하구에 인접해 있는 서천갯벌 서천갯벌은 금강 하구에 인접해 있는 데요 이 지역은 우리나라 3대 철새도래지 중 하나이기 때문에 겨울이 되면 , 많은 철새들이 찾는 곳입니다. 철새들의 낙원인 서천갯벌 금강 하구에 인접해 있는 서천갯벌은 2008년에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이 되었고요 2009년에는 우리나라에서 13번째로 람사르습지에 등록되었습니다. 람사르습지에 등록되었던 등록면적은 15.3㎢인데요 서천갯벌 습지보호지역은 검은머리물떼새로 유명...